금융이야기 9

내 명의 계좌 조회 (마이데이터)

금융계좌들이 한두개씩 많아질수록내 명의 계좌가 어디에 있는지헷갈리는 경우가 많았는데,마이데이터가 시행되면서많은 투자자들이편리해진 부분이 있습니다. 마이데이터란본인신용정보관리업으로개인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취합된금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업무입니다.초창기뱅크샐러드, 핀다 등의 회사로이슈가 되었으나,현재는 거의 모든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업무로보편화되었고,오히려 과다한 정보와 마케팅으로피로감을 느낄 때도 많습니다. 통합된 금융정보를 조회하는 어플은한두곳으로 정하는 것이 편리합니다.본인의 메인 금융기관에통합정보를 조회하는 것도 좋으나,개인적으로는개별 금융기관이 아닌공공기관인 금융결제원에서 운영하는"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를추천합니다. (payinfo)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www.payinfo.or.kr:443 ..

금융이야기 2025.06.04

금융소득 조회 방법

금융소득은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을 말합니다.금융자산이 많을수록높은 금융소득으로 좋은 점도 있지만,금융소득이 많을수록 불리한 점도 있는데세금과 건강보험료 입니다.그 기준이 되는 금융소득 금액은연간 1천만원과 2천만원 입니다. 금융소득에 따른 불이익구분건강보험료기타1천만원초과건강보험료상승일부 복지혜택불이익2천만원초과피보험자탈락종합소득세합산과세 금융소득 조회하는 사이트실시간 조회는 불가(국세청 홈택스, 어플 손택스)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국세청 홈택스 조회방법(과세대상)2천만원초과상단메뉴세금신고좌측메뉴종합소득세 신고우측신고도움 자료 조회하단 금융소득명세 조회(과세대상)1천만원초과우측상단나의 홈택스좌측메뉴나의 소득·연말정산하단 금융소득조회(건강보험공단통보자료)(과세+비과세)일반조회상단메뉴장..

금융이야기 2025.06.03

예금, 적금 금리 비교 사이트

재테크의 기본은 예금과 적금입니다.금리비교는 필수. 금리를 간편하게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소개해드립니다. ◇ 전반적인 비교은행저축은행금융감독원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https://finlife.fss.or.kr은행저축은행농협신협새마을금고마이뱅크https://www.mibank.me은행저축은행신협네이버페이 (예금비교)https://new-m.pay.naver.com우측메뉴 "예금통장비교"은행저축은행뱅크샐러드 (예적금)https://www.banksalad.com상단메뉴 "예적금" ◇ 업권 내 또는 지점간 비교은행은행연합회https://portal.kfb.or.kr"금리/수수료"-"예금상품비교"-"예금금리"저축은행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탈)https://www.fsb.or.kr"상품공시"-"맞춤상품검색"-"정기..

금융이야기 2025.05.26

예금 적금, 어느 은행 이용 하시나요?

재테크의 기본은 저축,적금과 예금입니다.우리나라에서 예금, 적금을취급할 수 있는 금융기관은다양합니다. 예금 취급 금융기관을표로 요약하고,FAQ로자세한 사항 정리하겠습니다. 대분류소분류기관명은행(1금융)특수은행-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농협은행수협은행일반은행시중은행국내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IM뱅크외국SC제일은행씨티은행지방은행부산은행경남은행광주은행전북은행제주은행인터넷은행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비은행예금취급기관(2금융)상호저축은행저축은행신용협동기구신협새마을금고단위농협단위수협산림조합우체국우체국예금종합금융회사우리투자증권 FAQ 1.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의 차이는? 제1금융권이 취급업무가 넓기는 하지만,일반 개인의 예금, 적금 관련해서는차이가 없습니다.제1금융권은 은행법에 적용받아, "은행"이란 이름을 ..

금융이야기 2025.05.23

중앙은행과 기준금리 기초 지식

가장 먼저 알아야 개념은 "기준금리"입니다.한 국가내에서은행간 자금이동시 적용되는 금리를 말하는데,개인과 기업의 예금, 대출 등 모든 금리들이"기준금리"를 기준으로 설정됩니다.매우 중요한 금리입니다. 그 기준금리를 정하는 기관이 어디일까요?바로 중앙은행 입니다.중앙은행은 국가의 화폐를 발행하거나화폐를 회수하는 통화정책을총괄하는 기관입니다.금리를 결정하는 권한도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는 중앙은행 내별도의 회의를 개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국가중앙은행표기금리결정 회의미국연방준비제도FED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유로지역 유럽중앙은행ECB정책위원회(GoverningCouncil)영국영란은행BOE통화정책위원회(MPC)일본일본은행BOJ금융정책위원회중국인민은행PBOC통화정책위원회 한국 ..

금융이야기 2025.05.21

국내 기업 신용등급 체계

채권이나 CP(단기사채)투자자들은신용등급 확인이 필수입니다.채권과 CP(단기사채)는 등급체계가조금 상이하니비교하시기 바랍니다. 국내 신용등급 체계구분신용도채권CP단기사채투자등급최고등급AAAA1매우우수AA+AAAA-우수A+A2+AA2A-A2-보통BBB+A3+BBBA3BBB-A3- 구분신용도채권CP단기사채투기등급투기적BB+B+BBBB-매우투기적B+BBB-부도가능CCC+B-CCCCCC-거의부도CCC부도직전C부도DD 국내 대표기업 신용등급(2025년 5월 기준)신용등급은 수시로 변경됩니다. AAA (최고등급)금융비금융NH농협지주KB금융지주신한금융지주하나금융지주우리금융지주농협은행수협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SC은행IB뱅크부산은행SK텔레콤현대차기아KTKT&G AA+ (매우우수+)금융비금융씨티은행JB금융지..

금융이야기 2025.05.20

국가 신용등급 현황 (미국 신용등급 강등 이슈)

2025년 5월 16일무디스(Moody's)라는 신용평가기관에서미국 신용등급을 Aaa → Aa1으로 강등시켰다. 신용등급 체계에 대하여아직 잘 모르시는 분을 위하여신용등급 체계에 대하여간략하게 요약해 드립니다. 신용등급은"부채(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등급화 한 것 입니다. 대표적인 신용평가사 구분회사최대주주글로벌Moody's(무디스) 버크셔(워랜버핏) S&P(에스앤피)뱅가드그룹Fitch(피치)허스트그룹한국NICE(NICE신용평가)NICE홀딩스KR(한국신용평가)Moody's싱가포르KIS(한국기업평가)Fitch그룹 신용평가사별신용등급표※ Moody's를 제외하고동일 등급체계 사용단, 국내 CP(기업어음) 및 단가사채는별도 신용평가 체계 사용 주요 국가 신용등급 현황(2025년 5월 기준) ..

금융이야기 2025.05.19

주거래 증권사 선정 기준

아직 증권사 거래를 시작하지 않은 사람들에게약간의 참고될 사항을 말씀드립니다. 거래하던 증권사가 부도시,고객이 보유한 금융상품은 어떻게 될까요? 국내외 주식(ETF포함)고객 계좌에안전하게 보관따라서, 아무 증권사를 이용해도 무관① 거래수수료 중요② 본인 취향의 HTS, MTS 인터페이스 중요장내선물(Future)채권(CP, 단기사채등 포함)수익증권(MMF포함)MMF형 CMAELS,DLS, 발행어음발행어음형 CMA부도 증권사에서 발행한 채권과 동일한 지위→ 거래 증권사의 신용도 매우 중요→ 정책당국에서 취급할 수 있는 증권사 제한 (대형사만 취급)※ 단, 종금형 발행어음의 경우, 예금자보호 (현재, 우리투자증권 취급)환매조건부채권(RP)RP형 CMA예금자보호는 안되나,담보(채권) 설정되어 있음..

금융이야기 2025.05.16

예금자보호제도, 증권사 보호 상품은?

2025년 5월 15일 금융위원회 예금보호한도 상향을 위한 입법 예고(2025년 9월 1일 시행 예정)예금자보호제도는 "금융기관" 파산시 시장충격을 방지하고자 만든 제도로,1개 금융기관 당 : 원금 + 이자 = 5천만원까지 보호(1억으로 상향 추진중) 금융기관 파산시, 파산된 금융기관에 예치된 금융상품은 어떻게 될까요?예금, 적금(은행, 저축은행)예금자보호법으로 보호예금, 적금(우체국, 농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산림조합 등)각 기관 관련 법률로 보호증권사 예수금예금자보호법으로 보호파산 금융기관에서 발행한채권, CD, CP보호받지 못함파산 금융기관에서 발행한발행어음보호받지 못함(단, 종금사 발행어음은 보호됨)파산 금융기관에서 발행한 ELS, DLS보호받지 못함주식(ETF), 채권, CD, CP,수익증..

금융이야기 2025.05.15